태양광 발전사업이란?
태양광 발전사업은 태양광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친환경 에너지 사업으로서 정부의 신재생 에너지 정책과 크게 연관이 있는 사업으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주요특징
1)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 ‘RPS제도(신재생에너지 의무 할당제 :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에서 일정 비율으르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발전설비용량이 500MW 이상인 발전사업자는 정부에서 요구하는 만큼의 일정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해야 합니다. RPS 의무 대상 기업은 매년 새롭게 선정돼 사전에 공지되며, 대상 업체들은 직접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도입하거나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의 공급인증서(RECㆍ발전량)를 구매해 의무공급량을 충당하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 2017년 현재 18개 공급의무자

2) 안정적인 수익구조
태양광 발전사업은 한번의 설비투자로 장기간(태양광 발전설비 수명 20~30년)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발전사업자는 전기를 생산하여 한전에 전기를 판매하여 SMP수익을 얻으며, REC를 추가로 발급받아 의무공급자에게 판매하여 REC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사업자의 수익은 SMP + REC가 되는 것입니다. ㆍ REC : Renewalbe Energy Certificate(신재생에너지 인증서)
ㆍ SMP : System Marginal Price(계통한계가격)
또한 태양광발전사업자는 전기를 생산하여 한전에 전기를 판매하여 SMP수익을 얻으며, REC를 추가로 발급받아 의무공급자에게 판매하여 REC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사업자의 수익은 SMP + REC가 되는 것입니다. ㆍ REC : Renewalbe Energy Certificate(신재생에너지 인증서)
ㆍ SMP : System Marginal Price(계통한계가격)
3) 친환경 에너지
태양광 발전사업은 친환경에너지를 생산하는 사업으로 100K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는 연간 8만8천톤 이상의 이산화탄소감축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485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로 환경을 생각하는 사업입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시행 | ㆍ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2012.01.01 시행 |
---|---|
정의 | ㆍ 공급의무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제도. |
공급의무자 | ㆍ 총 발전설비규모 500MW 이상의 발전사업자 및 수자원공사, 지역난방공사(총18개사. 2017년) |
18개 발전회사 : 한국수력원자력, 남동발전, 중부발전, 서부발전, 남부발전, 동서발전, 지역난방공사, 수자원공사, SK E&S, GS EPS, GS파워, 포스코에너지, 씨지앤율촌전력, 평택에너지서비스, 대륜발전, 에스파워 포천파워, 동두천드림파워 |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 공급인증서 발급 대상 설비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에 가중치를 곱하여 MWh 단위를 기준으로 발급.
- 발전사업자가 신ㆍ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ㆍ공급하였음을 증명하는 인증서.
- 공급의무자는 공급의무량에 대해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구매하여 충당할 수 있음.
[발급방법] 전력거래량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1000KWh로 나누어 REC로 발급함. *소수점 이하값은 이월하여 합산처리.
- 발전사업자가 신ㆍ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ㆍ공급하였음을 증명하는 인증서.
- 공급의무자는 공급의무량에 대해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구매하여 충당할 수 있음.
[발급방법] 전력거래량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1000KWh로 나누어 REC로 발급함. *소수점 이하값은 이월하여 합산처리.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
구분 | 공급인증서가중치 | 대상에너지 및 기중시행 | |
---|---|---|---|
설치유형 | 세북기준 | ||
태양광에너지 | 1.2 | 일반부지에 설치하는 경우 | 100KW 미만 |
1.0 | 100KW 부터 | ||
0.7 | 3,000KW 초과부터 | ||
1.5 | 건축물등 기존 시설물에 이용하는 경우 | 3,000KW 이하 | |
1.0 | 3,000KW 초과부터 | ||
1.5 | 유지 등의 수면에 부유하여 설치하는 경우 |
연도별 공급의무량(단위 %, 천REC)
해당연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
비율 | 2.0 | 2.5 | 3.0 | 3.0 | 3.5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공급의무량 | 6,420 | 9,210 | 11,577 | 12,375 | 15,081 | 17,043 |
RPS제도 참여절차
발전사업허가 | 발전소 준공 | 사용전 검사 | 전력수급예약 체결 |
발전사업 개시 | RPS대상설비 확인 |
공급인증서 발급 및 거래 |
---|---|---|---|---|---|---|
3MW 이하: 지자체 3MW 초과: 전기위원회 | 전기사업법에 근거하여 발전소 준공 |
전기안전공사 | 전력거래소 1MW 이하는 한전과 체결 가능 |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사업개시 권고 | 사용전 검사일로부터 1개월이내 신재생에너지 센터 권고 |
발급: 신재생에너지센터 거래: 전력거래소 |
수익산출방법
연간 예상 생산 용량 산출하기(가상예시)
ㆍ 연간 태양광 평균 생산시간 : 3.6시간
ㆍ 100kw는 1시간에 100kw를 생산할 수 있다는 생산 능력3.6시간기준으로 하루 100kw x 3.6h = 360kw가 생산 가능
ㆍ 연간 발전량 추정 계산 : 360kw x 365일 = 131,400kw 생산예측 SMP 수익 산출하기 ㆍ SMP수익은 한전에서 전기를 매전해 주는 단가로 매달 발전량에 따라 SMP 단가를 계산해 수익이 통장에 입금이 됩니다.
ㆍ SMP단가는 매 시간 별로 다르며 현재 시세로는 kw당 70~80원정도 됩니다. 평균인 75원으로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연간 예상 수익 계산을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131,400kw(연간생산량) x 75원 = 9,855,000원 REC 수익 산출하기 ㆍ 설비확인 시점 이후부터 REC가 발급되고 1REC=1,000kw입니다.
ㆍ REC현물 거래의 경우 현재 시점의 시세는 125,000원으로 1kw당 125원으로 계산됩니다.
ㆍ REC의 경우 REC 가중치를 적용하여 발전량을 인정해 주고 있습니다. REC 가중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ㆍ 100kw는 1시간에 100kw를 생산할 수 있다는 생산 능력3.6시간기준으로 하루 100kw x 3.6h = 360kw가 생산 가능
ㆍ 연간 발전량 추정 계산 : 360kw x 365일 = 131,400kw 생산예측 SMP 수익 산출하기 ㆍ SMP수익은 한전에서 전기를 매전해 주는 단가로 매달 발전량에 따라 SMP 단가를 계산해 수익이 통장에 입금이 됩니다.
ㆍ SMP단가는 매 시간 별로 다르며 현재 시세로는 kw당 70~80원정도 됩니다. 평균인 75원으로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연간 예상 수익 계산을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131,400kw(연간생산량) x 75원 = 9,855,000원 REC 수익 산출하기 ㆍ 설비확인 시점 이후부터 REC가 발급되고 1REC=1,000kw입니다.
ㆍ REC현물 거래의 경우 현재 시점의 시세는 125,000원으로 1kw당 125원으로 계산됩니다.
ㆍ REC의 경우 REC 가중치를 적용하여 발전량을 인정해 주고 있습니다. REC 가중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
구분 | 용량 | REC 가중치 | 비고 |
---|---|---|---|
일반부지 | 100kw 이하 | 1.2 | |
100kw 초과~3MW이하 | 1.0 | ||
3MW 이상 | 0.7 | ||
건물 위 | 1.5 | 버섯재배사의 경우 버섯재배 1년 후 가능 | |
주차장 | 1.5 | ||
수상 태양광 | 1.5 | ||
ESS연계 | 5.0 | ‘16, ‘17년 적용 / ‘18년 가중치 비율 조정예정 |
예상 수익을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가중치가 1.5인 경우 | ㆍ 131,400kw x 1.5(REC가중치) x 125원= 24,637,500원 |
---|---|
가중치가 1.2인 경우 | ㆍ 131,400kw x 1.2(REC가중치) x 125원= 19,710,000원 |
실제 태양광 발전 수익은 거래 시점의 REC, SMP 단가, 생산 시간, 발전 효율에 의한 실제 발전량에 따라 수익이 결정 됩니다. 예상 수익 산출은 미래의 수익수준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표이지만, 미래의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오니 위에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
수익구조

SMP | ㆍ 계통한계가격으로 한전에서 구매하는 가격(계약대상 : 한전) |
---|---|
REC | ㆍ 에너지관리공단에서 발급하는 공급인증서의 가격(계약대상 : 18개 공급의무 발전사) |
발전사업자 | ㆍ RPS 대상설비를 설치 확인한 후, 신재생 에너지 원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자 |